Formation and Development Features of the Russian-Speaking Koreans Community in South Korea
- Авторлар: KIM H.J.1, JUNG Y.2
-
Мекемелер:
-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
- Department of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, Yonsei University
- Шығарылым: № 8 (2025)
- Беттер: 119-131
- Бөлім: ЭТНОСОЦИОЛОГИЯ
- URL: https://journals.rcsi.science/0132-1625/article/view/328077
- DOI: https://doi.org/10.31857/S0132162525080106
- ID: 328077
Аннотация
Негізгі сөздер
Авторлар туралы
H. KIM
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
Email: arina@hufs.ac.kr
Seoul, Republic of Korea
Y. JUNG
Department of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, Yonsei University
Email: yj_jung25@yonsei.ac.kr
Seoul, Republic of Korea
Әдебиет тізімі
- Министерство юстиции Республики Корея, Бюро миграции и политики в отношении иностранцев. Ежемес. стат. бюлл. Вып. за октябрь. 2024.
- 김경학. 「중앙아시아 고려인의 한국 이주와 정착: 광주 ‘고려인마을’을 중심으로」, 『국제지역연구』. 2014. 제17권 제4호. 259–282쪽.
- 노용석, 이정화, 현민. 『부산‧경남 러시아어권 이주민들의 생활문화』. 국립민속박물관, 2022.
- 선봉규. 「한국에서 외국인 집거지의 형성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: 광주광역시 고려인마을을 중심으로: 광주광역시 고려인마을을 중심으로」, 『한국동북아논총』. 2017. 제83권. 193–214쪽.
- 신영재. 「평택항 개항에 따른 배후 지역의 변화에 대한 연구」, 『한국지역지리학회지』. 2013. 제19권 제3호. 416–435쪽.
- 아지모바, 나시바, 정영주. 「러시아어권 중도입국 청소년의 독해력 향상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예비연구」, 『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』. 2024. 제87. 81–105쪽.
- 아쿨렌코, 바딤. 『한국 내 고려인 마을 조사 자료집』. 학고재, 2024.
- 안남일, 이문성. 「평택시 인문지리콘텐츠 연구」, 『한국학연구』 2019. 제71권. 149–166쪽.
- 오정은, 김경미, 송석원. 『국내 거주 러시아·CIS(고려인) 현황조사 II』. 2015.
- 최영미. 『경기도 거주 고려인 생활실태 및 정착방안』. 2019.
- Akulenko V. The Phenomenon of Ethnocultural Enclaves of Russophone Koreans “Koryoin Maul” in South Korea //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. 2024. Vol. 29. No. 2.
- Teng H.-C., Chung J.-K. Goryeoin Village in Gwangju, South Korea, and Its Socio-Cultural-Historical Significance //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. 2023. Vol. 23. No. 1. P. 1–17.
- Yeo Y. F.M. Beyond Korean: Post-Soviet Korean Diasporic Identities in South Korea’s Koryo-saram Enclaves. Master's thesis.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, 2024.
